최근의 MAME 0.171의 경우에는 자체의 UI를 강화해서 별도의 Front-End가 없어도 되지 않나 싶을 정도이다.
이 UI를 통해서 각종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으니 예전만큼의 필요성은 없어 졌지만, MAME의 설정 파일을 직접 수정할 일은 그 만큼 줄어든 셈.
하지만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지를 않아서인지 몰라도 MAME의 설정은 언제나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
그래서 겸사 겸사 자주 사용하는 설정 부분만 따로 적어 두고, 나중에 시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게....
첫번째, 가장 중요한 롬파일 위치 지정해주기.
mame.ini에서는 rompath 부분에 지정해 주면 된다. 여러 폴더에 나누어져 있는 경우에는 폴더와 폴더 사이에 세미콜론(;)으로 구분해서 적어 주면 된다.
![]() |
rompath, mame.ini |
![]() |
MAME UI. 중앙에 게임의 목록이 있고, 그 하단에 설정 메뉴들이 있다. TAB 키로 이동. |
여러가지 디렉토리를 설정 할 수 있는데, 제일 위의 항목이 ROMs이고, 이걸 선택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온다.
![]() |
MAME UI. ROMs 설정 |
두번째, 기본 볼륨값
게임을 시작할 때 기본적으로 시작하는 음량을 따로 지정해 줄 수 있다.
디폴트 값은 0dB 인데, 경험적으로 이 값은 꽤 큰 값이라서 매번 볼륨을 조정해 주어야만 한다. (게임 중에는 "~"를 누르면 게임 화면 하단에 볼륨값이 표시 되고 화살표를 이용해 조정할 수 있다.)
mame.ini에서는 volume이라는 항목이 여기에 해당 한다.
나의 경우엔 -15dB 정도로 사용 중이라 -15로 바꾸었다.
![]() |
volume, mame.ini |
이 기본 볼륨 값은 아직은 UI 상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항목이니, ini 파일을 직접 수정해야만 한다.
세번째, 전체 화면 / 윈도우 화면, 화면 비율, 윈도우 최대 크기
이건 여러가지 조합이 가능하겠지만,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방식으로만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내가 설정한 항목만 간단히 설명하겠다. (나머지 조합은 각자가 시험해 보고 취향에 맞추길...)
우선, 전체 화면은 싫고 윈도우 상태를 좋아하기 때문에 윈도우 화면으로 선택.
그리고, 윈도우 상태로 시작하되 게임의 원래 가로세로 비율은 유지해야 하고,
비율이 유지되는 한 최대의 크기로 윈도우가 표시되는 게 좋다.
이에 대한 mame.ini의 항목은, 각각 window, keepaspect, maximize이다.
이들의 기본 값은 각각 0, 1, 1 이므로, 내가 원하는 대로의 설정은 window만 0에서 1로 수정하면 된다.
![]() |
video options, mame.ini |
MAME UI에서는 Configure Options를 통해서 들어 오면 다음과 같은 항목이 보인다.
여기에서 Window Mode, Enforce Aspect Ratio, Start Out Maximized 항목이 해당 항목이다. 이렇게 보니, 설명이 빈약하긴 마찬가지이지만 MAME UI의 항목이 쪼~끔은 더 직관적이네....
![]() |
MAME UI, Display Options |
mame.ini를 비교해 보니, 0,161과 0,171 사이에도 새로이 추가된 설정 항목이 꽤 있어 보인다.
혹시 그냥 불편하지만 참고 사용하던 기능이 이미 설정 항목으로 있을지도 모르는 일...
발견하면 여기에 업데이트 하도록 하자.